반응형

새로운 회사에서, 기존 작업하시던 분의 스타일시트를 보던 중에 발견한

BEM 클래스 네이밍 규칙.

작업을 이어받아 해야하기 때문에, 처음 접해본 나에게는 생소했다.

BEM이 어떤 방식인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했다.

 

 

getbem.com/?ref=hackernoon.com

 

BEM — Block Element Modifier

BEM is a highly useful, powerful, and simple naming convention that makes your front-end code easier to read and understand, easier to work with, easier to scale, more robust and explicit, and a lot more strict.

getbem.com

BEM은?

Block  Element  Modifier 의 약자로, CSS 클래스명 네이밍 규칙이다.

블록은 사이트 전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독립 실행형 구성 요소이다.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면, 상단 사이트를 참고하자.

 

 

그럼, BEM의 기본구조를 살펴볼까 한다..

Block, Element, Modifier 세가지로 구성된 이름을 짓는다.

그리고 각각 '__'와 '--'로 구분을 지어져 있다.

 

ex) 기본 구조

 

 

예를 들면, 

Block은 이요소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 한다.

ElementBlock을 구성하는 요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Modifier는 수식어로서 Block과 Element에 추가적으로 내용을 더할수 있고, 강조하거나 숨김등의 처리를 표현한다.

 

 

 

클래스 네이밍을 프로젝트마다 통일성 있게 사용하지만, 처음 접해보았던 BEM도 보다 많은 프로젝트의 적용된다고 한다.

 

BEM은 클래스 이름을 지정할 때  모듈성에 의해서 CSS를 최대한 활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상속을 피하고 요소에 고유한 CSS클래스 명을 사용하여 일종의 범위 제공하는 점도 있다. 그리고 CSS의 특이성을 최소소준으로 유지하여 충돌 방지에도 좋은 것 같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경험을 하면서 더 익숙해지게끔 사용해보려 한다.

 

 

 

반응형
반응형

 

Window10을 새로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파일 확장자명이 숨겨진 상태로 나타납니다.

 

하단 화면을 보면, 파일의 확장자는 안보이고 제목만 보입니다.

원래는 javascript 파일이기 때문에, "ui.js" 표시가 되어야 합니다.

확장자명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파일확장자명 표시하는 순서.

파일탐색기에서 왼쪽 상단에  [파일]  목록 클릭하면 하위리스트들이 나온다.

거기서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클릭!

 

 

 

그럼  [폴더 옵션]  창이 뜹니다.

폴더 옵션 창 안에는 일반, 보기, 검색 세가지의 탭이있죠?

"보기" 로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크게 두 단락으로 나누어있어요. 그 중 "고급설정" 부분에서 스크롤을 이용해서 

하단 이미지에 선택되어있는 항목을 찾으시면 됩니다.

 

 

 

'알려진 파일 형식의 확장명 숨기기' 항목을 찾으셨으면, 체크되어있는 부분을 클릭해서 해지해주시고

하단에  [확인]  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해서 내용을 저장해줍니다 :)

 

 

하단의 이미지에서 적용된 확장자명 표시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ui이름 옆에 .js 확장명 확인하셨죠?^^!

 

 

 

반응형
반응형

Visual Studio Code를 새로 셋팅하는 과정에서,

확장프로그램들과 더불어 글씨체 설정을 찾다가 바꿔보았다.

 

코딩을 할때, 한글이 들어가는부분 그리고 한글주석 등, 언어는 영문인데 한글과 섞어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대다수.. 미세한 차이로 인해서 한글 글씨체를 포기하고 영문에 맞게 주로 쓰고있다.

 

이 두가지를 한번에 깔끔하게 표현가능한 네이버의 개발 전용 폰트를 설정해보았다.

D2코딩 폰트는, 네이버에서 무료 배포하는 폰트 입니다.

다양한 OS(windos, mac, linex(ubuntu)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고, 코딩에서 사용되는 특수 문자들을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볼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자간과 행간을 유지하도록 고정폭 글꼴로 제작되었습니다.

 

 

 

* d2codingfont 다운받기!

 

github.com/naver/d2codingfont/releases

 

Releases · naver/d2codingfont

D2 Coding 글꼴. Contribute to naver/d2codingfon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 상단 D2codingfont 페이지에 접속 한 뒤, 쭉 내려보면 하단 부분과 같은 ~~~ .zip파일 클릭!

 

 

 

 

2. 다운로드를 받은 뒤 압축을 해제하면, 하단과 같은 세 파일이 있습니다.

    이중 가운데 폴더(모든것이 다 포함되어있는 전체 폰트)를 더블클릭 합니다.

 

 

 

3. 클릭해서 들어오면 노란체크되어있는 설치부분 버튼을 클릭하셔 설치를 완료합니다.

    (*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제어판 > 모양 및 개인설정 > 글꼴에서 'D2coding'검색 )

 

 

 

* Visual Studio Code에서 디투코딩 글꼴 설정하기!

파일 -> 기본설정 -> 설정 

하단과 같이 "Font Family"에 설정해주면 글꼴 변경 완료!

 

 

반응형
반응형

맥북을 다 밀어버리고 새로깔아서 깃을 다시설치했다.

 

1. Git사이트 접속

git-scm.com

 

Git

 

git-scm.com

 

Git 사이트 접속 후 하단캡처화면과 같이 'Download for Mac' 클릭하면 화면이동이된다. 

Homebrew라는 패키지를 이용해 깃을 설치해보자.

 

2. Homebrew 설치하기

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Homebrew는 패키지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여러가지 명령어로 각종 패키지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이용할 수 있다.

상단 Homebrew사이트에 접속하여 명령어 복사하기.

 

 

터미널을 키고 Homebrew 사이트에서 카피한 명령어를 입력해 다운받기.

Password 입력하라고 나오면 Mac OS Password를 입력하면 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가 완료 된 화면.

 

 

3. 깃 설치 후 버전 확인하기

Homebrew가 설치 되었으면 하단 명령어로 git 최신버전으로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s git

 

설치후 깃 버전 확인하기

git --verison

 

 

반응형

+ Recent posts